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239 lines (132 loc) · 10.5 KB

찬우.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239 lines (132 loc) · 10.5 KB

책임과 메시지

책임감 분산 - ‘방관자 효과’

협력에서는 명확한 책임과 역할이 중요하다.

‘자율성’

책임 - 요청에 따라 객체가 수행하는 행동,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행동의 집합.

이 책임을 스스로의 의지와 판단에 따라 수행할 수 있는가가 바로 자율성이다.

객체가 책임을 자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객체에게 할당되는 책임이 자율적이어야 한다.

왕 → 모자장수에게 ‘증언하라’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모자장수는 자신의 책임인 ‘증언’을 해야한다.

이 때, 왕의 입장에서 모자 장수가 어떤 방법으로 증언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 how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음.

책임은 자율성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을 정도로 포괄적이고 추상적이어야 한다.

책임은 협력에 참여하는 의도를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을 수준안에서 추상적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자율적인 책임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인가?

📌 자율적인 책임은 ‘어떻게’ 해야하는가가 아니라 ‘무엇’을 해야하는가를 설명한다.

결국 책임은 다른 객체의 메시지를 통해서 수행되기 때문에 ‘무엇’을 해야하는가에 대한 서술은 메시지를 통해서 전달된다. 메시지에 집중하자.


메시지와 메서드

<수신자>.<메시지 이름>(<인자>)

함수 호출방식이 메시지와 동일하다.

객체의 수행방식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지 확인

  • 객체가 메시지에 해당하는 행동이 있다는 것은 즉, 객체가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 메시지를 이해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은 ‘대체 가능성’

메시지가 변경하지 않는다면 책임을 수행하는 방법을 변경하더라도 송신자는 알 수 없다.

  • 객체의 외부와 내부가 메시지를 기준으로 분리된다.
📌 메시지가 객체의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영역이라면, 메서드는 객체의 내부로 책임을 구현하는 영역이다.

메서드

객체가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선택하는 방법

메시지에 대응되는 특정 메서드가 실행된다 → 메시지의 형태가 메서드 호출의 형태이다.

메서드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받은 객체는 미리 정의해둔 정의를 통해 대응되는 책임을 수행한다.


다형성

📌 다형성이란 서로 다른 유형의 객체가 동일한 메시지에 대해 서로 다르게 반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메시지를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는 전적으로 수신자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송신자는 처리방식을 알 수 없다.

다형성을 만족시킨다는 것은 다양한 객체들이 동일한 책임을 공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메시지 송신자의 관점에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양한 타입의 객체와 협력할 수 있도록 한다.

→ 동일한 책임을 가진다는 것, 동일한 메시지를 수신가능하다는 것, 대체 가능성을 가진다는 것. 다형성을 만족한다는 것.

📌 다형성은 객체들의 대체 가능성을 이용해 설계를 유연하고 재사용 가능하게 만든다.
  • 다형성은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객체 타입에 대한 결합도를 메시지에 대한 결합도로 낮춤으로써 달성된다.

이 다형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

  1. 협력이 유연해진다.
    • 송신자 - 수신자 간의 필요한 정보가 적다. → 오로지 서로 메시지만 볼 뿐이다.
  2. 협력이 수행되는 방식을 확장할 수 있다.
    • 책임을 수행하는 방식을 수신자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3. 협력이 수행되는 방식을 재사용할 수 있다.
    • 송신자의 입장에서 수신자가 바뀌더라도 책임만 수행할 수 있다면 상관없다.
📌 메시지는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결합도를 낮춘다.

메시지

클래스를 정의하기 전에 객체들의 속성과 행위를 식별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해야한다.

→ 책임-주도 설계

  1.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시스템의 책임으로 간주
  2. 이 책임을 수행할 객체들로 분할하여 할당
  3. 다른 객체와의 협력을 위해서 어떤 메시지가 필요한지 결정
  4. 해당 메시지를 수신받을, 책임을 다할 객체를 선택

메시지가 수신자의 책임을 결정한다.

  • 행위를 먼저 식별한 이후에 행위를 수행할 적절한 객체를 찾는다.

메시지 중심의 설계는 메시지 수신자의 캡슐화를 증진시킨다.

  • 메시지 송신자는 메시지를 수신할 객체의 내부 상태를 볼 수 없다.
  • 내부에 어떠한 방식으로, 어떠한 데이터를 사용하는지 묻지 않는다. 단순히 시키기만 한다.
  • 이를 통해 자율성을 증진시킨다.

메시지를 통해 객체의 구체적인 타입과 무관하게 협력할 수 있다.

  • 대체 가능성 → 유연하고 재사용 가능한 협력을 구현한다.
  • 캡슐화 → 자율적인 책임을 구현한다.

객체 인터페이스

📌 인터페이스란, 두 사물이 마주치는 경계 지점에서 서로 상호작용 할 수 있게 이어주는 방법이나 장치를 말한다.
  1. 인터페이스의 사용법만 알고 있다면 내부 구조나 동작 방식을 몰라도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 운전자가 차의 전체 구조를 알지 못하더라도 운전이 가능하다.
  2. 내부 구성이나 동작 방식이 다르더라도 인터페이스가 변경되지 않는다면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차의 엔진이 바뀌어도 운전이 가능하다.
  3. 동일한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로 다양한 대상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 운전만 할 줄 알면 어떤 차든 운전이 가능하다.

지금까지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이야기였고, 객체 인터페이스는?

📌 객체 인터페이스는 객체가 수신할 수 있는 메시지의 목록이다.

이전에 메시지를 결정하고 수행할 객체를 결정하는 what/who 사이클을 통해 구현하게 될 경우, 메시지가 객체의 공용 인터페이스를 의미하게 된다.


인터페이스와 구현의 분리

객체지향적 사고방식에 필요한 세가지 원칙

  1. 좀 더 추상적인 인터페이스
    • 자율적인 책임 → 메시지가 ‘무엇’을 해야하는가에 대한 서술
    • 추상화를 통해 메시지를 간결하게 만든다.
  2. 최소 인터페이스
    • 메시지 이외의 다른 정보는 인터페이스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 다른 정보를 줄임으로써 협력에 대한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3. 인터페이스와 구현 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인식

객체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내부, 외부로 분리하여 구현해야한다.

📌 ‘구현’은 객체의 내부 구조와 동작방식을 말한다.
  • 상태
  • 행동
    • 책임을 다하기 위해 메시지를 받아 처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인터페이스와 구현의 분리 원칙

  • 구현이 분리된다면, 객체를 자율적인 존재로 만들 수 있다.

    → 메시지에 대한 행동을 수행할 때, 처리하는 메서드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 반대로 메서드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어야만 구현과 인터페이스를 구분할 수 있다.

  • 구현이 분리되어 있어야만 변경을 통해 협력하고 있는 다른 객체에 대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 인터페이스와 분리되어있기 때문이다.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지 않는 한 협력하는 객체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송신자와 수신자가 구체적인 구현 부분이 아니라 느슨한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만 결합되도록 한다.**

캡슐화

📌 객체의 자율성을 보존하기 위해 구현을 외부로부터 감추는 것을 캡슐화라고 한다. 정보 은닉이라고도 한다.
  1. 상태와 행위의 캡슐화

    자신의 상태는 스스로 관리하게 두고,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행위만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출하여 ‘데이터 캡슐화’를 구현한다.

    다른 객체에 대한 협력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

  2. 사적인 비밀의 캡슐화

    사적인 정보들을 접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행하는 캡슐화이다.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

자율적인 객체는 공용 인터페이스를 수정하지 않는 한 자신과 협력하는 외부 객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내부의 구현을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다.

이렇게 외부와 내부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객체를 구현하게 되면 설계가 단순하고 유연하고 변경하기 쉬워진다.

책임이 자율성이 협력의 품질을 결정한다.

  1. 자율적인 책임은 협력을 단순하게 만든다.

    → 객체가 해당 협력을 참여하기 위해서 구현해야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2. 자율적인 책임은 모자 장수의 외부와 내부를 명확하게 분리한다.

    → 협력을 참여하기 위해 구현하는 방식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 캡슐화를 통해 송신자는 인터페이스에만 접근 가능하며, 수신자는 인터페이스의 변경이 없다면 내부의 구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3. 책임이 자율적일 경우, 책임을 수행하는 내부적인 방법을 변경하더라도 외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송신자의 입장에서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책임의 결과에 대해서만 확인할 수 있다.

    → 책임이 자율적일수록 변경에 의해 수정돼야 하는 범위가 좁아지고 명확해진다.

    📌 변경의 파급효과가 객체 내부로 캡슐화 되기 때문에 두 객체 간의 결합도가 낮아진다.
  4. 자율적인 책임은 협력의 대상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 대체 가능한 객체라고 한다면, 누구든지 협력에 참여할 수 있다.

  5. 객체가 수행하는 책임들이 자율적일수록 객체의 역할을 이해하기 쉬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