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S 데브캠프 2기 flame 팀의 김다롬입니다.
전체적인 프로젝트 설명이나, 아키텍처 구조는 README.md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hatting-service
│ ├─chat # 채팅 서버 (채팅 메시지 송수신)
│ ├─fcmserver # FCM 알림 서버
│ └─presence # 접속 상태 서버 (채팅방 입/퇴장 기록)
├─common # 여러 서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공통 모듈 - 현재 사용하지 않습니다.
├─infrastructure # Spring Cloud 서버 (서비스 디스커버리, 게이트웨이)
│ ├─eureka
│ └─gateway
└─membership-service
├─auth # 인증 서버
├─chatroom # 채팅방 서버 (채팅방 생성 및 채팅방 참여자 목록 불러오기)
├─file # 파일 서버 (프로필 이미지 등 각종 파일 관리)
└─membership # 멤버십 서버
저는 크게 4가지 서버를 맡아 구현했습니다.
- 인증 서버 (auth)
- Spring Cloud 서버 (eureka, gateway)
- 채팅 서버 (chat)
- 접속 상태 서버 (presence)
인증 서버에서는 Spring Security 와 JWT 를 활용하여 사용자 인증 처리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로그인시 발급되는 JWT 토큰은 추후 다른 서버에 접근 할 때 사용하게 됩니다.
토큰 탈취 이슈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request 로 보낸 토큰과, DB 에 저장된 토큰을 비교하여 불일치할 경우 토큰이 탈취된 것으로 간주하여 다시 로그인하도록 유도했습니다. 매 요청마다 DB 정보를 확인해야 하므로 Key-Value 형식의 빠른 redis 를 DB로 사용했습니다.
관련 코드
Spring Cloud 서버 (eureka, gateway)
중 API Gateway 의 역할을 중점으로 구성했습니다.
모든 사용자 요청은 Gateway 를 먼저 만나게 되는데, 인증 서버일 경우, 인증 서버의 자체적인 검증 로직을 거칩니다. 반면, 그 이외의 모든 서버는 Gateway 의 AddRequestFilter 를 거치게 됩니다.
AddRequestFilter 에서는 인증 서버에 JWT 토큰을 전달하여 아래 3가지를 확인합니다.
- 유효한 토큰인지
- token DB 에 저장된 토큰과 일치하는지
- 토큰 정보와 일치하는 사용자가 있는지
세 가지 모두 성공적으로 확인했다면, 내부 서버로 라우팅될 때 요청 헤더에 기존에 있던 JWT 토큰 정보를 제거하고, USER-ID, DEVICE-ID 를 추가하여 전달합니다.
JWT 토큰이 flametalk 서버에서 생성한 토큰인지만 확인하고 라우팅 시키고 싶었지만, 현재 common 모듈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아 공통 코드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여 매번 인증 서버를 거쳐 검증하는 로직으로 구현했습니다. 대신 인증 서버를 여러대로 구성하여 부하를 분산시키는 방법을 고민해봤습니다.
반면에 이런 검증 과정을 거침으로써 내부의 서버에서는 안전하게 헤더의 정보를 믿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리팩토링을 한다면 common 모듈의 버그를 해결하여 JWT 토큰 관련 코드를 common 으로 옮겨 gateway 에서도 토큰 검증을 코드 중복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이렇게 된다면 현재 인증 서버의 JWT filter 부분의 미완성 부분도 gateway 에서 처리가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관련 코드
- 게이트웨이 필터: AddRequestFilter
인증 서버에서 사용자 검증
링크의 getUserIfPresent 메소드- 인증 서버의 JWT filter
채팅 서버에서는 STOMP 를 활용하여 웹 소켓 연결을 맺고, kafka 브로커를 활용하여 구독/발행 구조로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있습니다. 또한 docker 에 cassandra 를 올려 사용하여 채팅 메시지를 저장 및 관리하고 있습니다.
요청이 웹 소켓 요청인지 HTTP 요청인지에 따라 컨트롤러와 Service 를 분리했습니다. 웹 소켓 요청은 채팅 메시지 송수신만 처리하며, HTTP 요청일 경우에는 메시지의 히스토리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FCM 푸시 알림을 주기 위하여 채팅방에 접속하지 않은 사용자를 추려 FCM 메시지 발신 대상
이라고 정의했고, 이는 채팅방 전체 사용자
와 채팅방에 접속 상태인 사용자
의 차집합입니다.
각각 chatroom 서버, presence 서버에 HTTP 요청을 통해 사용자 목록을 가져와서 FCM 메시지 발신 대상
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관련 코드
- 웹 소켓
- HTTP
접속 상태 서버에서는 기본 WebSocket 으로 웹 소켓 연결을 맺고, 사용자가 채팅방에 접속한 상태인지 아닌지를 기록합니다. 채팅방 입장과 퇴장은 빈번하게 일어나고, 해당 채팅방에 접속한 사용자의 목록을 빠르게 알아야 하기 때문에 Set 자료구조를 활용하여 redis 에 저장했습니다.
관련 코드
- 웹 소켓 메시지 분석하여 입장과 퇴장 기록
- 채팅방에 접속한 사용자 목록
Spring Cloud, Websocket, kafka 등 새롭게 사용해본 기술과, MSA, 접속 상태 서버와 같은 낯선 개념들을 공부하면서 구현을 병행하느라 들인 시간에 비해 코드량도 적고 아직 더 보완하고 싶은 마음이 커 아쉽기도 하지만, 다르게 생각해보면, 짧은 기간내에 몰입하고 새로운 것에 도전하여 이만큼 할 수 있구나. 하는 성취감과 자신감도 얻을 수 있었고 앞으로 더 쉽게 많은 도전을 할 수 있는 마음가짐을 갖게 된 것 같습니다.
3개월간 데브 캠프라는 좋은 기회를 주셔서 대규모 프로젝트의 맛을 볼 수 있었다는 것에 정말 감사드리고 앞으로는 더 노력해서 나은 모습 보여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SGS 데브캠프 2기 김다롬이었습니다. 시간내어 리뷰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