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This repository has been archived by the owner on Apr 25, 2020. It is now read-only.

커리큘럼 계획서 전체 피드백(9월 6일) #1

Open
juwoong opened this issue Sep 6, 2018 · 3 comments
Open

커리큘럼 계획서 전체 피드백(9월 6일) #1

juwoong opened this issue Sep 6, 2018 · 3 comments

Comments

@juwoong
Copy link

juwoong commented Sep 6, 2018

수정이 되긴 한 건가요? 아무것도 달라진 게 없어 보입니다. 실제로 수업 할 의지가 있는지도 조금 의문이 드네요.
좀 격변의 기간이 있긴 하였으니, 해당 수정사항을 반영하여, 다음주 금요일 (9월 14일)까지 제출해 주세요.

  1. 장담합니다. 절대로 3차시만에 프로그래밍의 개론과 실습 그리고 OOP를 나갈 수 없습니다. 해당 커리큘럼은 프로그래밍을 경험해 본 사람을 대상으로 20차시+ 에 수업할 수준의 내용입니다. 많은 것을 가르치고 싶은 욕심은 알겠지만, 팀원간의 협의를 통해서 어느 가치에 더 집중하고 싶은지를 토의해 보세요. 프로그래밍을 경험해 본 학생들이 제대로 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 보는 경험을 주는게 더 중요한가요? 아니면 프로그래밍을 경험해 보지 못한 학생들에게 어플리케이션 제작에 관한 경험을 주는 것이 더 중요한가요? 더 나은 가치가 있다면 그것도 좋습니다. 반영해서 수정해주세요.

  2. 여러분들이 만들어 나갈 교육이, 어느 측면에서 다른 이들이 제공하는 교육보다 좋다고 생각하나요? 이는 기획서에 첨부하지 말고, 이슈에 답글로 달아주세요.

@dogyhbin2
Copy link
Collaborator

개발을 할줄 아는 아이들에게는 더 심화적인 것을 가르치고 싶은 욕심이 있어, 라이브버리 서버 통신, OOP 개념을 넣었으나, 개발을 모르는 아이들에게 개발을 접하게 도와주는 것이 맞다고 생각을 바꾸었습니다.

@Woopa01
Copy link
Member

Woopa01 commented Sep 18, 2018

약간 많은 강의 횟수와 적은 기간에 조금 과하긴 했지만, 좀 더 많은 것을 가르쳐주고 이해시키는것이 이 교육의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moreal
Copy link
Collaborator

moreal commented Sep 19, 2018

안드로이드에 대해 보다 더 많은 배워볼 수 있다는 것이 수정하기 이전의 커리큘럼의 장점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처음 개발을 배우는 학생들에게는 어렵게 느껴진다는 것을 설리번 프로젝트 2017를 진행하면서 배웠고 난이도를 하향하는 방안으로 진행하고자 하는 것이 제 의견이었습니다.

moreal added a commit to moreal/TeamRose-Android-Curriculum that referenced this issue Sep 22, 2018
moreal added a commit to moreal/TeamRose-Android-Curriculum that referenced this issue Sep 29, 2018
Sign up for free to subscribe to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Labels
None yet
Projects
None yet
Development

No branches or pull requests

4 participants